멘토님. 현재 A 중공업 건설기계 부문의 구매 직무 지원을 하고 1차 면접을 앞두고 있습니다.
©Christopher Gower
1. 현재 제가 지원한 회사는 건축 건설업에 필요한 산업차량과 유압부품 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저는 경영 전공이라 기계 관련 핵심 지식이 부족합니다. 멘토님이 생각하시기에, 현직에서 경영 전공자가 어필할 수 있는 구매 직무 역량이 어떤 것들인지 궁금합니다.
2. 현재 창업 프로젝트와 인턴 경험(자재 지출 내역 검토, 대금 지급 검토)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력과 실행력을 갖추고 있다"는 면접 답변을 생각했는데 이에 대해 현직자님의 피드백이 궁금합니다.
3. 입사 후 포부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는 게 어렵네요. 구매 직무의 단기, 장기 커리어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 직무로는 처음으로 면접을 보게 되어 걱정되는 점이 많아 급하게 질문드려 설익은 내용이 많을 텐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멘토님의 의견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대로 구매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기술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주문 제작으로 구매하는 기계, 설비 구매 등은 대부분 이공계열 출신들이 구매를 진행하죠.
다만 기업이 고도화될수록 구매조직도 세분화되어, 구매 과정에서 이공계열이 담당하는 직무와 상경계열이 담당하는 직무가 동시에 존재합니다. 저도 상경계열 출신으로 구매 직무 초기에 플랜트 자재 구매팀에 있었는데, 시장조사와 입찰, 계약 등의 업무는 제가 담당하고, 기술적인 파트인 입찰된 견적의 기술사양 분석은 기술부서에서 진행하곤 했습니다.
또한 모기업의 통합구매실에서도 근무를 했었는데, 그때도 제조업의 필수 자재인 원료 들은 무역 지식 및 어학, 국제법에 대한 등의 사유로 상경계열들이 많이 있었죠. 지원하신 회사의 구매 직무에 자격란에 상경계열도 지원이 가능하다고 하면 아마도 상기와 같은 직무에 종사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정리하자면 상경계열 전공자가 어필할 수 있는 구매 지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구매 의향이 있는 제품을 시장 조사할 수 있는 능력. (시장에 어떤 업체가 있는지, 관련 제품들은 어떤 게 있는지 조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외산자재를 구매하는 경우 무역학에 대한 지식 및 어학능력.
(3) 국산자재든 외산자재든 항상 우선시 되어야 할 관련 법령에 대한 습득.
예컨대 국산 자재라면 하도급법, 공정거래법이 이슈이고, 외산 자재라면 해당 지역의 법률과 국제 관습법에 대한 내용이 필요합니다(코트라에서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지요). 세 가지 지식 모두 어느 정도는 준비해 가셨으면 합니다.
©Christophe Dion
제가 생각하는 구매 실무자로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분석력' 과 '통찰력'이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구매를 생각하면 유려한 화술의 협상력을 생각하지만, '협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건 '정보'이고, 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선 무분별하게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중요한 정보로 재생산해 내는 분석력과 보이지 않는 정보를 찾아내는 통찰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협상은 정보를 많이 쥔 사람이 유리하고, 때문에 판매자가 구매자보다 유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내가 사려는 제품을 만드는 사람보다 자세하게 알 수 없으니까요.
지원하시는 회사에서 설비를 구매할지, 단순 부품을 구매할지, 아니면 원료를 구매할지 알 수 없지만, 구매하는 품목에 대한 분석력과 분석을 바탕으로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실행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an Taylor
입사 후 포부는 저도 많이 어려워했던 기억이 나네요. 저는 현장관리로 입사해서 2년 차에 구매 직무로 넘어와 벌써 11년째 구매부에 있습니다. 구매부 역사상 가장 오래된 직원이네요.
이제 제 목표는 구매 스페셜리스트입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 가장 구매를 잘하는, 누구한테 물어봐도 구매는 제가 가장 잘한다고 할 수 있는 데까지 올라가는 거지요. 어느 정도는 다가서는 것 같기도 합니다.
구매 관련 자격증은 이제 한 개 빼고 전부 취득했고, 남은 한 개를 올해 도전할 예정이며, 취득 후 구매 관련 내부용 책을 하나 쓸 예정입니다.
축약하자면 구매 직무 10년은 구매 스페셜리스트를 위한 기간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책 발간 후 5년은 구매 직무와 타 직무와의 연계를 통하여 회사의 전반적인 시스템 개선에 힘을 쏟을 예정입니다. 발간된 책 후반에 시작하여야 할 장기과제를 담아서요.
근데 이건 제 상황에 맞춘 제 기준일 뿐입니다. 멘티님에게 맞는 포부가 어떤 것이 될지 조언 드리기 좀 어렵네요. 그냥 일반적인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입사 후 5년은 회사의 절차와 규정에 입각한 실무 마스터, 이후 10년 차까지의 5년은 마스터한 실무를 바탕으로 구매에 대한 전반적인 시스템 정리 및 개선 작업을 완료하여 회사의 구매 스페셜리스트로 거듭나는 것이겠죠. 이후 5년은 구매 직무와 타직무 간 연계를 통하여 전사적인 시스템의 개선을 수립하는 것 정도가 되겠네요.
아직 코로나가 회복되지 않아 글이 좀 중구난방한 것 같습니다. 어지럼증이 아직 남아서 머리를 벽에 기댄 상태로 일하고 있네요.
제가 드린 답변 글 중 일부가 잇다 콘텐츠로 제작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엔 다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구매 역량과 직무 내용 등에 대한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랄게요. 또 궁금한 게 있으면 어려워 말고 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