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님께 질문드립니다. 문과 직무로 신재생에너지, 특히 수소 산업 분야에서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지식이나 활동 경험 측면에서 전공자들에 비해 관심도나 이해도가 부족하다는 걸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채용 공고를 봐도 공대 전공자가 우대사항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래서 두 가지가 궁금합니다.
©Hyundai Motor Group
1.문과 출신이라면 해당 산업에 대한 공부를 어떻게 준비하는 게 좋을까요?
2.또, 어느 정도 수준까지 공부를 해야 하는 걸까요? 물론 공부에 끝은 없겠지만, 문과 출신 입장에서 배워야 할 적정 수준이 있을 것 같아 여쭤봅니다.
멘토님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수소 산업에 관심 가져주시고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재해주신 내용을 보니 진로에 대해 폭넓게 고민하고 계신 것 같고, 스펙만 봐도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쪽으로 잘 준비하고 계신 게 느껴집니다. (특히 어학 성적은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현재 저는 연구소에서 R&D 업무를 맡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위해 사업부문(사업개발/전략)에서 일하는 동료와도 협의했습니다. 답변이 조금 늦어진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답변은 현대자동차 수소사업부 기준으로 드리는 점도 함께 이해 부탁드려요.
©Hyundai Motor Group
수소 산업 공부는 접근이 쉬운 방법부터 시작하는 게 좋습니다. 가장 먼저 추천하는 방법은 수소 관련 신문 기사를 꾸준히 읽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월간수소경제’나 ‘가스신문’이 있는데요, 월간수소경제는 유료 구독 없이도 무료 기사만으로 산업의 구도와 최신 동향을 파악하기에 충분합니다.
두 번째 방법은 박람회 관람입니다. 특히 매년 9월 킨텍스에서 열리는 H2Meet 같은 행사는 수소 산업 관련 주요 기업들이 대부분 참가하는 만큼, 하루 이틀 투자해서 부스별 팜플렛이나 포스터를 둘러보시면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넥쏘카페(네이버)를 추천합니다. 넥쏘를 보유한 소비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인데, 가입만 하면 글 열람은 가능하니 수소차 사용자들의 경험과 이슈를 자연스럽게 접하실 수 있을 겁니다. 특히 국내 수소 산업은 현대자동차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넥쏘 카페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거예요.
사업개발 직무에서는 연구소에 비해 공학적 지식이 깊게 요구되진 않습니다. 대신 법률 지식과 수소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가 훨씬 중요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수소법’을 제정할 정도로 규제가 엄격한데, 사업개발 부서에서는 이런 규제를 잘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공부 범위에 대해서는 말씀하신 대로 끝이 없겠지만,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해 큰 막힘 없이 답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1.수소 밸류체인을 구성하고, 주요 이해관계자를 분석한 뒤, 가장 중요한 관계자를 골라 해당 당사자의 pain point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시오.
2.연료전지와 2차 전지의 특성을 비교하고, 승용차, SUV, 트럭, 버스, 항공 등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에 가장 적합한 전지 종류를 분석한 뒤, 연료전지 수요를 늘리기 위한 개발 방향을 제시하시오.
3.유럽, 미국 등 수소 선진국들이 추진하는 세제 혜택이나 규제 완화 정책 중,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정책을 선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사업부문 기준으로는 1번 > 3번 > 2번 순서로 중요도가 높으니, 이 순서에 맞춰 준비하시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생기면 언제든 편하게 문의주세요. 산업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열정이 느껴져서, 꼭 좋은 결과가 있으실 거라 믿습니다. 오늘도 힘내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