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대학 생활 이건 챙겨주세요.

대기업(현대중공업,한화,LG디스플레이) · 안전관리

멘티 질문

멘토님. 저는 현재 현장에서 배관 기술팀의 안전 관련 아르바이트를 하며, 자연스럽게 기업의 환경안전보건(EHS)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Igor Shalyminov


자유전공학부 1학년이라 곧 전공을 선택해야 하는데, 전자공학과와 환경공학과를 두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두 학과 중 어떤 전공이 해당 직무에 더 적합할지 궁금합니다.


또한, 안전관리 직무를 꿈꾸는 대학 저학년이 하면 좋을 만한 활동은 무엇인지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멘토 답변

1학년부터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준비하시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고, 그 열정에 응원을 보냅니다. 궁금하신 점에 대해 답변해 드릴게요.


<안전관리 직무, 어떤 전공이 더 유리할까요?>

반도체 FAB의 안전팀은 크게 산업안전, 환경안전, 화학안전, 보건관리로 나뉩니다. 각 전공이 강점을 가질 수 있는 분야가 조금씩 다릅니다.


-환경공학과: 환경안전, 화학안전, 보건관리 직무에 더 유리합니다. 반도체 공정에서는 산, 염기 등 화학물질과 다양한 가스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화학물질 관리나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한 환경공학 지식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자공학과: 직접적인 안전관리보다는 설비안전이나 전기안전 분야에서 강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반도체 장비나 공정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므로, 엔지니어가 안전 지식까지 겸비한다면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멘티님이 환경안전이나 보건 쪽의 안전관리 직무를 희망하신다면 환경공학과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하지만, 전자공학과를 선택하더라도 안전 지식을 함께 쌓으면 반도체 엔지니어로서 큰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Maxence Pira


<대학 생활 로드맵 (1~4학년)>

대학 저학년부터 준비하면 좋을 활동들을 학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참고하여 멘티님만의 로드맵을 그려보세요.


-1학년: 안전 및 환경 관련 자격증 기초 공부를 시작하고, 현재 하고 있는 현장 아르바이트를 꾸준히 이어가며 실무 경험을 쌓으세요.

-2학년: 전공을 확정한 후, 관련 연구실이나 동아리 활동을 시작하세요. 안전 관련 공모전에 참여하고, 관심 기업의 서포터즈 활동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3학년: 산업안전기사, 대기환경기사 등 안전/환경 관련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세요. 해당 기업의 인턴이나 현장 실습에 도전하여 직접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4학년: 전공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환경/ESG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해 보세요.


취업은 단거리 경주가 아닌 장기 마라톤입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하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너무 조급해하거나 걱정하지 마시고,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해 주세요.



이계용 멘토

대기업(현대중공업,한화,LG디스플레이) · 안전관리

생산/품질/제조

지방 대학출신으로 대기업 취업 방법과 이직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하고자합니다.
또한 기존 직무변경을 하면서 경력을 인정받는 방법 등에 대해 소개함으로써
신입 혹은 이직에 대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