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개발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역량은?

멘토
IT개발/데이터

멘티 질문

멘토님. 좋은 강의 매번 감사드립니다. 저는 서비스 기획자를 꿈꾸는 학생입니다. 신입 채용이 적은 직무의 특성상 경력직과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강의 중 궁금했던 점들을 몇 가지 여쭤보고자 합니다.


©Kevin Ku


1.신입 기획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역량은 어느 정도인가요? 신입 기획자도 데이터 관련 역량이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복잡한 SQL 쿼리문이나 파이썬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까지 할 줄 알아야 할까요? 회사에서는 이러한 역량을 포트폴리오(예: 깃허브 링크, 데이터 시각화 자료) 등으로 어떻게 확인하는지 궁금합니다.


2.졸업 프로젝트 경험은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현재 졸업 프로젝트로 백엔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경험을 깃허브 링크로 제출하여 어필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됩니다. 코드 퀄리티가 높지 않을 예정이라 오히려 시니어 개발자분들이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을지 걱정됩니다.


바쁘신 와중에 제 질문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멘토님의 고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멘토 답변

멘티님의 고민을 잘 이해했습니다. 서비스 기획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인재가 될 수 있을지 고민하는 모습이 인상 깊습니다. 데이터와 개발 역량에 대한 질문에 답변해 드릴게요.


1. 데이터 관련 역량, 어디까지 필요할까요?

SQL이나 파이썬에 대한 지식은 분명 있으면 좋습니다. 하지만 신입 기획자에게 복잡한 쿼리문을 짜거나 전문적인 데이터 분석을 요구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기획자에게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툴을 다루는 능력보다는, 인턴십이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회사에서는 별도로 데이터 역량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 테스트를 진행하기보다는, 포트폴리오나 면접 과정에서 지원자가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데이터 시각화 자료를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제출한다면,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습니다.


©Ales Nesetril


2. 졸업 프로젝트와 깃허브 활용법

졸업 프로젝트로 백엔드 개발 경험을 쌓았다는 점은 신입 기획자로서 매우 큰 강점입니다. 많은 기획자가 개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멘티님은 이미 한 발 앞서 있는 셈입니다.


코드의 퀄리티가 걱정된다고 하셨는데,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기획자 채용 과정에서 시니어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검토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오히려 이 경험은 멘티님이 '왜 이 서비스를 기획했고, 어떻게 구현했는지'에 대한 스토리를 풀어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깃허브 링크를 제출하는 것은 기획자가 개발자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합니다. 중요한 것은 코드 자체의 완성도가 아니라, '어떤 유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서비스를 기획하고 직접 개발까지 시도했는가'입니다. 이 점을 논리적으로 어필한다면, 문제 해결 역량과 실행력을 동시에 증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멘티님의 고민은 곧 더 나은 기획자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꾸준히 준비해 나가시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