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취업, 직무 지식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하나요?

SK하이닉스 · AT(Analysis Technology)

멘티 질문

멘토님. A사의 기반기술 직무를 희망하며 열심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해당 직무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드립니다.


©Louis Reed


1. 직무 면접 대비 및 핵심 지식 (Device Physics 중요성)

저는 현재 반도체 공정, 소자 이론 및 DRAM, NAND, HBM 관련 지식을 공부 중입니다.

-그런데요. 멘토님. 직무 면접에서 직무 지식을 어느 정도로 깊게 준비해야 할까요? 어느 정도의 경험을 해보고 학습해 보는 게 좋을지 궁급합니다. 



2. 공정 개선 참여 여부 및 협업 시 우선 가치

-Defect 분석 후 타 직무 엔지니어분들과 협업하여 공정 개선에도 참여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공정 개선을 위한 협업 과정에서 기반기술 엔지니어가 최우선 가치로 두어야 할 점(기술적 관점, 효율성, 안정성 등)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3. 2단계 개발 체계 전환에 따른 변화

A사 뉴스룸 사이트에서 기존 3단계 개발 체계에서 양산 준비 단계를 제외한 2단계 개발 체계로 전환하였다는 뉴스를 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기반기술 직무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이러한 체계 전환으로 인해 기반기술 직무의 업무 방식 변화나 계측 난도 증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바쁘신 와중에 귀한 시간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멘토님의 조언이 저의 학습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멘토 답변

멘티님,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가감 없이 답변드립니다.


<A1. 직무 면접 대비 및 핵심 지식>

말씀하셨듯이 배경을 알고 소자 및 공정 관점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단 멘티님이 지금 공부하는 것처럼 다양하게 접한 다음에 하나를 정해서 심도 있는 경험과 학습을 하는 것이 더 나아 보입니다.


예를 들어, Diffusion 공정 → Implant 공정 → PAI 공정 → 디바이스 관점 최적 implant 공정과 실제 실험 내용에 대한 논문 검색 및 기술 보고서 숙지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실험 계획법 관점으로 AI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실험 설계 진행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울러 배경, 가설, 아이디어, 실험, 개선 과정과 결과, 해석 및 결론 등 하나의 프로젝트처럼 최소 한 번이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본인만의 스토리로 풀어내는 것이 필요하죠.

©Louis Reed


<A2. 공정 개선 참여 여부 및 협업 시 우선 가치>

일단 저는 defect 분석 담당자는 아니지만 분석 관점으로 맥락은 비슷하기에 말씀드립니다. 질문 주신 내용처럼 각 담당하는 분석 장비를 기준으로 소자 및 공정 협업 혹은 TF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1순위 가치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분석의 결과가 나온 이유를 바탕으로 실제 소자 공정, 더 나아가 디바이스 특성 관점으로 연결시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연결하여 보다 나은 디바이스를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A3. 2단계 개발 체계 전환에 따른 변화>

2단계, 3단계와 상관없이 분석의 중요성과 난이도는 지속적으로 올라갑니다. 예전과 달리 연구, 개발, 양산이 분절되어 있기보다 서로 아우르면서 업무를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죠. 


미약하지만 제 답변이 멘티님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홍성호 멘토

SK하이닉스 · AT(Analysis Technology)

생산/품질/제조

12년차 반도체 연구원입니다.
반도체 물성분석 관련 일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현실적인 도움을 드리고 싶습니다.
https://brunch.co.kr/@justealler
(취업 및 반도체 관련 글을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