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K 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멘티입니다. 지난 학기에 수강했던 취업스쿨 수업을 통해 잇다를 알게 됐고, 멘토님께 처음으로 질문을 드려봅니다.
자기소개서를 미리 써두고, 전공 면접도 사전에 대비하고자 하는데,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는 품질 직무 정보들은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다양한 정보를 접했지만, 여전히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품질 부서에서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자세히 알게 되면, 자기소개서와 전공 면접을 대비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거 같습니다. 어떤 내용을 주로 언급해야 하고 공부해야 하는지도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현재 가장 관심 있는 곳은 S 회사 연구개발직입니다.
현재 제 첫 번째 목표 직무는 품질이고, 기업의 채용 상황에 맞춰 제조, 생산, MIS 쪽도 융통성 있게 지원하고자 합니다. 중견기업 이하로 지원을 하게 될 때, 산업공학이라는 전공을 어떻게 살릴 수 있을까요?
답답한 마음에 두서없이 질문한 것 같아 송구스럽네요. 멘토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멘티님. 우선 이렇게 알게 되어 반갑고 기쁩니다. 멘티님께서는 품질 부서가 무엇인지, 중견기업 이하 지원 시, 산업공학 전공의 경쟁력에 대해 질문하셨습니다. 멘티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 품질 부서란?
품질 부서 설명에 앞서 이해를 돕고자 품질 업무의 전반적인 구분에 관해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기업마다 구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대상에 따른 품질 업무
먼저, 대상에 따른 품질 업무구분입니다. 협력사 품질은 협력사의 제품 납품 관련 점검과 승인작업, 협력사 감사와 교육, 품질 안정화 및 관련 업무 수행 등을 합니다. 고객사 품질은 고객사에 신제품과 4M 변경품 납품 시 관련 승인작업, 고객사 감사 대응, 고객 요구사항 및 불만 접수 등의 업무를 합니다. 끝으로 공정 품질은 공장 내 제품들의 품질관리, 불량원인 확인 및 개선, 공정 라인 및 품질 서류 관리, 작업자 품질교육 등을 합니다.
2. 담당 직무에 따른 품질 업무
품질기획은 국내외 품질인증 관리, 품질에 대한 연, 월간 계획 및 품질 보고, 전사적 품질 회의 주최, 품질기준 정보 확보 등의 업무를 진행합니다. 품질관리는 공장 내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수준 관리, 품질 문제 예방 및 점검, 현장 품질관리 등을 합니다.
선행품질은 제품 개발단계에서 이루어지는 APQP, PPAP, 4M 등의 모든 공정에서 품질 관련 업무를 담당합니다. 품질보증은 고객에게 납품된 자사 제품 품질에 대한 보증업무를 하는데, 고객 불만 사항과 관련된 전반 업무, 분담률 협의 등의 업무도 병행합니다.
품질이라는 분야를 단순히 하나로 묶기엔 한국에는 이미 수많은 산업이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약품 등 그 종류가 다양하거니와 언급한 각 제품군 내에서도 세부적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의 경우 차체, 섀시, 의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을 거 같네요.
이런 구분에 따라 품질 업무의 분류 달라지고, 업무 과정도 상이하며, 전문역량 필요 여부도 당연히 차이가 있습니다. 예로 들었던 자동차 부품업체의 경우 대부분 H자동차의 품질기준을 중심으로 일을 다룹니다. 전문성이 있어야 하는 취급제품의 경우, 해당 분야 전문역량을 따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 전장업체의 경우 전자 관련 지식과 회로도 해독능력을, 약품 및 화장품 업체는 약학 또는 화학 관련 지식을, IT 관련 업체는 코딩지식을 필수적으로 요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 경험상 신입 채용을 기준으로 자동차 부품 쪽은 대부분 구분 없이 공대생을 채용했습니다. 대기업은 거의 구분 없고, 중소기업으로 갈수록 관련 전공을 조금 더 선호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약품 및 화장품 관련 업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구분 없이 관련 전공을 주로 좋아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IT 분야는 대기업의 경우 코딩 경험이 적더라도 다른 부분을 고려해 지원자를 판단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신 IT 중소기업일수록 대기업보다 실제로 코딩이 가능한 사람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를 보면, 결국 대기업 및 중상위 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지원자의 자격요건을 더 까다롭게 보는 거 같네요. 멘티님께서는 위에서 제가 설명해드린 품질 분야 구분을 사전에 머릿속에 담아두시고 준비하시면, 취업 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품질 직무에서 산업공학 전공이 경쟁력 있나요?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인력 규모도 적습니다. 작은 기업의 경우 이러저러한 이유로 사무직도 현장 업무를 하게 될 때가 많습니다.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기술공학 분야 전공자만 뽑는 곳이 많습니다. 동시에 이와 다르게 좀 더 수준 높은 품질 기법을 적용하고, 현장 개선을 위해 산업공학 전공을 필요로 하는 기업과 기업 대표들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회사 규모와 수준, 리더의 생각 등에 따라 채용에 있어 어쩌면 산업공학이 불리한 대접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산업공학도는 경쟁력 있는 전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산업공학이 산업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주로 배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품질 직무뿐만 아니라 생산, 구매, 자재 등의 분야에 산업공학도가 진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하다고 확신합니다.
S 회사 개발연구직 입사 가능성은?
끝으로 멘티님께서는 S사 연구개발직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말씀드리면, 현재로서는 입사가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는 개발연구직(R&D)은 산업공학 전공으로는 입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개발연구직(R&D)은 각 분야에 대해 연구하고 개발하는 부서이기 때문에, 기술공학 분야 전공자들을 주로 필요로 합니다. 특히, 석·박사 수준의 인원들을 주로 원합니다. 따라서 멘티님의 경우처럼, 기계공학 쪽의 복수전공이 아니고선 개발연구직 취업은 힘들다고 판단됩니다.
추가로 도움이 필요하거나, 혹시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가 되지 않으시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언제나 멘티님을 응원하겠습니다.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