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자 클래스
멘토에게 질문하기
멘토링 베스트 Pick
진로 인성 검사
UX 리서치 직무,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슬로웨이브 · Design Research
9일 전
💬 멘티의 질문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UX 리서치와 컨설팅 분야에 관심이 생긴 대학생입니다. 궁금한 점이 많아 이렇게 연락드리게 되었습니다.


현재 중어중문학과를 전공하고 있고, 경영학을 복수 전공 중입니다. 과거에는 세무사 시험을 1년 정도 준비했던 경험이 있고, 지금은 금융 관련 자격증(CFA)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튜브를 운영하면서 콘텐츠 제작에 매력을 느꼈고, 원래도 마케팅이나 소비자 경험과 관련된 직무에 관심이 있었던 터라, 최근 UX 분야에 진지한 흥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Tirza van Dijk


그래서 다음과 같은 부분들이 특히 궁금합니다:

1.UX 리서치나 컨설팅 분야에 진입하려면 어떤 공부를 더 해야 할까요? 대학원 진학이 꼭 필요한지도 고민 중입니다.


2.디자인 역량도 필수일까요? 전공이 디자인이 아니어서 이 부분이 걱정됩니다.


3.UX 관련 자격증이 별로 없는데, 실무에서 도움이 되는 자격증이나 교육과정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4.만약 대학원 진학이 필요하다면, 꼭 미국으로 가야 하는지도 고민입니다. 국내 대학원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5.마지막으로, UX 리서치/컨설팅 직무의 장점과 단점도 솔직하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실 텐데 이렇게 귀한 시간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멘토님의 답변이 진로를 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김성미 멘토의 답변

UX 리서치·컨설팅에 관심 가진 걸 반갑게 생각합니다.


먼저 제가 예전에 작성한 글에 지금 질문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요. 이 글을 먼저 꼭 참고해 주세요:
👉 UX 커리어 관련 글 보기


1. UX 자격증이나 학위가 꼭 필요할까요?

UX는 전공을 따지지 않는 분야입니다. 핵심은 ‘사용자 관점에서 생각하는 마인드셋’이에요. 경영자, 마케터, 엔지니어 누구든 이 관점을 갖고 있으면 UX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다양한 배경의 전문가들이 UX 역량을 기반으로 혁신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2. UX는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디자인 전공자가 아니라면, UX 부트캠프를 통해 실무 역량을 키우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인 루트입니다. 포토샵, 피그마 같은 툴도 익히고, 프로젝트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도 만들 수 있어요.


추천하는 부트캠프는 아래와 같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PXD UX 부트캠프
-Plus X 부트캠프 (패스트캠퍼스)

이런 부트캠프는 국내 UX 업계에서 잘 알려진 회사들이 운영하는 곳이라, 커리큘럼도 실무 중심이고, 과정을 이수하면 업계에서도 어느 정도 실력을 인정받을 수 있어요.


이 분의 사례도 참고해보세요:
👉 비전공자의 UX 도전기


3. UX 관련 자격증이 있을까요?


있습니다!  ‘서비스 경험디자인 기사’라는 국가공인 자격증이 있어요.
 한국디자인진흥원 자격시험 안내


아직은 신생 자격증이라 필수는 아니지만, UX 개념을 정리하고 기본을 다지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력을 검증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고요.


©Tirza van Dijk


4. 대학원은 꼭 가야 할까요?

꼭 그런 건 아닙니다. 대학원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만큼, 실무를 먼저 경험해보고 필요성을 느낄 때 가는 게 좋아요. UX 석사를 병행하는 분들도 있지만, 대개는 회사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진학합니다. 대학원 진학은 국내든 해외든 가능하지만, 커리어 방향이나 리서치 관심도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시면 됩니다.

5. UX 직무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저는 디자인을 전공했고, 15년 넘게 UX 분야에서 일하고 있어요. 정말 재미있고 보람찬 일이에요.


장점은 

-‘누군가를 위한 무언가를 만들고’, 그것이 시장에 나와 긍정적인 반응을 받을 때의 뿌듯함이에요.
-다양한 학문(심리학, 경제학, 과학 등)을 융합하며 계속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것도 매력입니다.
-조직 안에서는 누구보다도 ‘고객의 편’에 서서 의견을 조율하고 설득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협업 과정도 의미 있어요.

하지만 단점도 있어요.

-UX 리서치나 컨설팅 포지션 자체는 매우 좁고 신생 분야라, 큰 회사가 아니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규모가 작은 회사에서는 UX디자이너가 리서치, 기획, 디자인을 모두 다루는 경우도 많아요.
-또, UX라는 개념은 살아남겠지만, 'UX만 하는 사람'의 자리는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있어요.

코로나 이후로 디지털 UX 인력 수요는 늘었고, 대우도 좋아진 편입니다. 디자인 직군 중에선 UX가 대우가 가장 좋은 편이에요.


마지막으로 조언을 드리자면, 기존에 해오셨던 마케팅, 콘텐츠 운영, 경영학·세무학 배경을 바탕으로 기획/마케팅 실무부터 시작해 보세요. 그 안에서 UX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내가 정말 집중하고 싶은 분야가 무엇인지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아요.UX를 준비하다 보면 시각적 구현 능력을 요구받는 경우가 많아 준비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서요. 재밌는 일을 오래오래 하시길 응원합니다. 또 궁금한 게 있다면 언제든 질문 주세요!

김성미 멘토
슬로웨이브 · Design Research
서비스 기획/UI, UX
한국에서 의자디자이너로 약 6년 일하다가 적정기술, 사회혁신에 관심을 갖고 유학길에 올랐습니다. 뉴욕에서는 디자인전략대학원을 마치고 컵공유 스타트업에서 경험디자이너로 지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UX리서치, UX컨설팅, 대학생, 실무진 대상 디자인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같은 직무를 다룬 글
서비스 기획/UI, UX
17일 전
서비스 기획/UI, UX
2달 전
인기 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