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걸 좋아하면 콘텐츠 마케터를 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6년 차 콘텐츠 마케터 공지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글 쓰는 걸 좋아하는데 콘텐츠 마케터가 적성에 맞을까요?"라는 질문을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글을 쓰는 걸 좋아한다고 해서 콘텐츠 마케터가 적성에 맞는 것은 아닙니다.
콘텐츠 마케터는 단순한 글쓰기가 아니라,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콘텐츠를 기획하고 활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콘텐츠 마케터는 브랜드의 성장을 위해 콘텐츠를 활용하는 직무입니다.
즉, 글을 쓰는 것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콘텐츠를 통해 특정 비즈니스 목표(리드 수집, 전환율 증가, 구매 유도 등)를
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실제로 콘텐츠 마케터가 직접 글을 쓰는 일은 많지 않으며,
데이터 분석과 성과 개선이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주요 업무
• 브랜드의 마케팅 목표에 맞는 콘텐츠 기획 및 실행
• 블로그, 뉴스레터, SNS,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 포맷 활용
• 콘텐츠 성과 분석 및 개선 (트래픽, 전환율 등 퍼포먼스 지표 추적)
• SEO, 광고 운영 등의 디지털 마케팅 연계
필요한 역량
• 마케팅 관점에서 콘텐츠를 기획하는 능력
• 데이터 분석 및 성과 개선 능력
• SEO, 퍼포먼스 마케팅, CRM 등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이해
• 프로젝트 관리 및 협업 능력
반면 콘텐츠 에디터는 브랜드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 자체를 제작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브랜드의 목소리를 담아 콘텐츠의 퀄리티를 관리하고, 문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기사, 블로그, SNS 등의 콘텐츠 작성 및 편집
• 브랜드 톤앤매너에 맞춘 글쓰기
• 인터뷰, 리서치 등을 통한 심층 콘텐츠 제작
• 콘텐츠 스타일 가이드 관리
필요한 역량
• 뛰어난 문장력과 스토리텔링 능력
• 카피라이팅, 교정·교열 능력
• 트렌드 리서치 및 자료 조사 능력
나에게 맞는 직무는?
•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흥미가 있다? → 콘텐츠 마케터 추천
• 콘텐츠 자체를 제작하고 다듬는 과정이 즐겁다? → 콘텐츠 에디터 추천
둘 다 "콘텐츠"를 다루지만, 목표와 접근 방식이 전혀 다릅니다.
단순히 "글을 쓰는 게 좋아서" 콘텐츠 마케터를 선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마케팅적인 사고를 가지고 콘텐츠를 활용해 성과를 내는 것에
흥미를 느끼는지 먼저 고민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케팅/취업 관련 더 많은 정보는 제 프로필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성공적인 커리어 여정을 응원합니다.
대행사 vs 인하우스 고민
포트폴리오 작성법
합격하는 면접 준비 방법
6년 차 인하우스 브랜드 마케터와 콘텐츠 마케터로 근무하고 있는 공젼입니다!🌎
(오프더레코드로 지금이 총 9번째 회사라는 점..💦)
제약, 식품, 교육, 유아동, 유통/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자연스럽게 가지게 되었습니다.
커리어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많았는데요,
올해 6월에 4주간 정부에서 하는 취업교육 콘텐츠 마케팅 직무 강사로 강의를 해보니 오히려 9번 이직하면서 자연스럽게 쌓인 다양한 분야와 기업에 대한 이해들이 강의를 하고, 멘토링을 할 때는 정말 큰 자산이 되더라구요!
저는 면접에서는 한 번도 떨어져 본 적이 없고,
면접에서도 제가 분위기를 리드하는 편입니다.
(상상이 안가실 수도 있지만 진짜입니다!)
저는 마케터이기 때문에 포트폴리오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경력 기술서와
포트폴리오 기반으로 면접 준비를 철저하게 하는 편입니다.
제가 취업 강의를 진행했던 만큼 도대체 취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조차 모르시는 분들,
마케팅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싶으신 분들
혹은 단순 회사 생활에 대한 고민과 뒷담화(예 : 퇴사해야 할까? vs 버텨야 할까?) 모두 모두 환영입니다! 🙌
취업&이직 준비 성심성의껏 도와드리겠습니다!
원하신다면 취업하실 때까지 책임지고 AS도 도와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