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채용시장 문제파악 & 해결방안
사진은 삼성전자 2025년 하반기 (최신) '신입사원' 채용 공고다.
그러나 요구사항(이런 경험이 있으면 더 좋아요)은 '대학원 수준'의 '경력과 정량적 결과물'이다.
요구사항에 기재된 3D 모델링 프로그램, 해석 프로그램 중 학부생이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도 수준은 lv. 1 정도다.
하지만 석사도 해당직무에 지원하므로 학부생의 경쟁자는 석사다.
대학원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을 2년 동안 다뤄서 소위 눈감고도(?) 자유자재로 다룰 줄 아는 석사들이 널렸다.
또한 신입사원 공채에 직무와 연관된 'SCI 논문과 특허 등 정량적 성과'도 요구하고 있다.
기업은 경력직을 선호하고 업무와 상관없는 스펙이 아닌 직무경험과 직무와 관련된 정량적 성과를 원한다.
직무 경험을 원하는 이유 : 기업이 가진 이슈 파악 & 해결해 본 경험이 있는 인재는 곧바로 업무에 투입되어 일할 수 있다.
정량적 성과를 원하는 이유 : 연구개발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글쓰기, 설득하는 발표 경험은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다.
이런 것들은 하루아침에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원은 단순히 석사증, 박사증을 따기 위해 가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현장에 투입가능한 '전략적 인재'가 되기 위함이다.
대학원은 '쉽고 빠른' 메이저 회사 취업을 목표로 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얻어진 학위증은 영원하다.
학부를 졸업하고 '대기업 취업'이 인생의 목표가 되어서는 안된다.
그 이유는 사내의 다양한 권한과 기회는 학위 소지자(석박사)>>>>>>>>>학사이고 이것은 은퇴 때 까지 극복이 불가능하다. 장담한다.
이것이 회사를 그만두고 대학원에 가는 사람들의 이유이며
30년 경력의 학사출신 기술자가 그의 세 명의 자녀를 석박사로 키워낸 이유다.
Powered by Froala Editor
- 이공계 ‘경력형 인재’로의 전환 설계를 통해 메이저 회사 최종합격까지 이끌어 드립니다!!
- 메이저 대기업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전자
- 정출연 : ETRI · KIMM · KIER · KITECH · ADD
한국표준과학연구원(선임연구원) 최종합격 / 삼성전자(Staff Engineer, CL3) 최종합격 / 한국생명공학연구원(Postdoc) 최종합격 / LG전자(Senior Researcher) 입사 제의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대학원생의 정출연&삼성전자 동시 합격 비법」
「이공계 대학원생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완전 정복」
「나는 대학원 진학해서 삼성전자, 정출연 쉽게 합격했다」
1. 취업시장 문제 인식 : '경력직 선호(수시채용)' 현상 뚜렷 → 취준 (스펙 쌓기) n년
2. 해결 방법 : '경력가속기' 설계(대학원) 필요
3. 합격 전략 : 단기간에 경력직 되는 전략 + 대학원 합격 전략
1. 취업 문제 인식 : 석박사 취업에 가장 중요한 '직무 적합성' & '레퍼런스'를 평소에 챙기지 못함 → 비선호 직장 취업 or 비정규직 n년
2. 해결 방법 : 학위 기간 중 '직무적합성' & '레퍼런스' 갖추는 것 필요
3. 합격 전략 : 회사가 탐내는 전략적 '핵심 인재' 되기 + 100% 합격하는 자소서&면접 전략 학습
1. 누적 멘티 : 1,000명 (연세대, 한양대, 성균관대 등 13개 대학 재초청 진행 중)
2. 높은 강의 평점 : 4.98/5.00 (상위 1% Itdaa 명예 멘토)
3. 멘티 합격 포트폴리오: SK 하이닉스, 현대차, 삼성전자 등 메이저 대기업 및 정출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정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