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별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어떤 내용에 집중할까?
안녕하세요, 6년 차 콘텐츠 마케터 공지원입니다.지난 아티클에서는 “왜 직무별 포트폴리오를 구분해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했죠.오늘은 그다음 단계로, 각 직무별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어떤 내용에 집중해야 하는지좀 더 구체적으로 다뤄보려 합니다.직무마다 포트폴리오의 ‘언어’는 다릅니다.어떤 경험을 강조하고, 어떤 키워드와 성과 지표를 활용해야 하는지에 집중해 보세요!1. AE (Account Executive)프로젝트 전 과정을 관리하고, 광고주와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신뢰를 쌓는 AE는‘관리력’과 ‘조율력’, ‘문제 해결 능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강조할 핵심 역량• 프로젝트 관리 능력: 기획부터 실행, 완료까지 전 과정 관리 경험• 광고주 커뮤니케이션: 니즈 파악, 설득, 관계 구축 사례• 내부 팀 리딩: 기획·제작·매체 등 다양한 파트 조율 경험• 예산·일정 관리: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일정 준수• 위기 대응: 돌발 상황에서의 문제 해결력🧩 주요 포트폴리오 구성 요소• 프로젝트 요약: 목표, 역할, 기여도, 핵심 성과• 제안서/기획서 샘플: 클라이언트에게 제시했던 아이디어 (대외비 유의)•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타임라인, 협업 툴, 일정표 등• 커뮤니케이션 사례: 광고주 피드백 반영, 내부 조율 과정• 위기 극복 스토리: 문제 발생 → 해결 과정 → 결과📌 핵심 키워드프로젝트 관리 / 클라이언트 커뮤니케이션 / 팀 리딩 / 예산 관리 / 문제 해결 / 조율 / 제안 / 리포팅⚠️ 주의사항단순히 ‘결과물’을 나열하지 말고,‘내가 어떻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는가’에 대한 AE로서의 스토리라인을 보여주세요.2. 브랜드 마케터 (Brand Marketer)브랜드의 본질을 이해하고, 통합적 IMC 전략으로 일관된 메시지를 전하는 브랜드 마케터는스토리텔링과 전략적 브랜딩 사고를 중심으로 자신을 표현해야 합니다.✅ 강조할 핵심 역량• 브랜드 기획력: 신규 브랜드 론칭, 리뉴얼, 리포지셔닝 경험• 스토리텔링: 브랜드 메시지, 슬로건, 캠페인 카피 기획• IMC 이해도: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 메시지 설계• 시장/타겟 분석: 트렌드 및 소비자 인사이트 기반 전략 수립• 크리에이티브 협업: 디자이너, 영상제작자 등과의 협업 과정🧩 주요 포트폴리오 구성 요소• 브랜드 전략 문서: 컨셉, 핵심 가치, 페르소나, 포지셔닝 맵 등• 캠페인 기획안: 목표, 컨셉, 메시지, 채널별 전략, 무드보드• 실제 실행물: 광고 영상, 지면 광고, 팝업스토어, 브랜드 굿즈 등• PR 자료/언론 보도: 브랜드 관련 보도자료, 언론 노출 사례• 성과 지표: 인지도, 선호도, 브랜드 지수 등 정성·정량적 변화📌 핵심 키워드브랜딩 / IMC / 스토리텔링 / 브랜드 아이덴티티 / 컨셉 / 페르소나 / PR / 브랜드 경험 / 크리에이티브⚠️ 주의사항‘예쁜 결과물’을 나열하기보다“왜 이런 전략을 세웠고, 그것이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가”를논리적인 스토리로 풀어내야 합니다.3. 콘텐츠 마케터 (Content Marketer)타겟의 마음을 움직이는 콘텐츠를 기획하고,채널별 최적화를 통해 유입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콘텐츠 마케터는‘기획력’과 ‘성과 데이터’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조할 핵심 역량• 콘텐츠 기획력: 타겟 맞춤 주제 발굴, 스토리보드 작성• 콘텐츠 제작 능력: 카피라이팅, 영상/이미지 제작, 편집• 채널 운영 전략: 블로그, SNS, 유튜브 등 채널별 최적화• SEO/SEM 이해도: 검색 기반 콘텐츠 전략 설계• 콘텐츠 성과 분석: 유입률, 조회수, 참여율, 전환율 등🧩 주요 포트폴리오 구성 요소• 기획/제작 콘텐츠: 블로그 포스팅, 카드뉴스, 영상, 뉴스레터 등• 채널 운영 사례: 팔로워 성장, 도달률 향상, 유입 증대 등• 콘텐츠 성과 데이터: CTR, 참여율, 전환 기여도• 콘텐츠 전략 문서: 콘텐츠 캘린더, 키워드 리서치, 기획 의도📌 핵심 키워드콘텐츠 기획 / 카피라이팅 / 스토리텔링 / 채널 운영 / SEO / 인게이지먼트 / 유입 / 퍼널 / 온드 미디어⚠️ 주의사항단순히 “이런 콘텐츠를 만들었다”가 아니라문제 → 실행 → 성과 → 인사이트 구조로,‘왜 만들었는가’와 ‘무엇을 해결했는가’를 명확히 설명하세요.4. 퍼포먼스 마케터 (Performance Marketer)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고,지속적인 최적화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퍼포먼스 마케터는‘데이터 해석력’과 ‘성과 창출력’을 논리적으로 입증해야 합니다.✅ 강조할 핵심 역량• 데이터 분석: GA, 앱애널리틱스, 광고 대시보드 활용• 광고 기획·운영·최적화: 검색, 디스플레이, SNS 등 매체별 전략• A/B 테스트: 가설 수립, 실험 진행, 결과 분석 및 개선• KPI 관리: ROAS, ROI, CPA, CPC, CVR 등 핵심 지표 운영• 예산 효율화: 광고 소재 및 타겟 최적화, 예산 분배 전략🧩 주요 포트폴리오 구성 요소• 캠페인 리포트: 목표, 전략, 성과 요약, 개선 프로세스A/B 테스트 결과: 실험 설계, 결과 인사이트, 다음 액션 플랜• 광고 소재별 비교: 성과 분석 및 최적화 사례• 분석 툴 활용: GA, FB Ads, SQL 등 실제 화면 캡처 (민감 정보 블러 처리)📌 핵심 키워드데이터 분석 / ROAS / ROI / CPA / CPC / CVR / A/B 테스트 / 최적화 / 그로스 / 매체 운영 / 리포팅 / GA⚠️ 주의사항데이터를 단순 나열하지 말고,데이터로 어떤 문제를 발견했고, 어떤 의사결정을 내렸으며, 그 결과 어떤 성과를 냈는가를 시각적으로 전달해야 합니다.분량 관계상 다음 아티클에서는CRM 마케터, 그로스 마케터, 인플루언서 마케터, 바이럴 마케터의포트폴리오 구성 전략을 다룰 예정이에요.총 12개 마케팅 직무를 3편으로 나눠실무 중심의 인사이트를 전달드릴 테니,팔로우하고 기다려주세요!마케팅/취업 관련 더 많은 정보는 제 프로필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여러분의 성공적인 커리어 여정을 응원합니다.Powered by Froala Editor